< 강의 커리큘럼 >
01. DevOps의기본 개념
02. AWS기반 소규모&중규모 아키텍트설계
03. AWS기반 대규모아키텍트 설계
04. 코드를통한 인프라관리(IaC)
05. 도커와 쿠버네티스를 이용한서비스 운영
06. CI/CD(지속적 통합/지속적 제공) 구현하기
07. 모니터링서비스 구축및운영
08. AWS기반보안
부록. Kuberneteson AWS EKS
이전 강의 내용
모놀리식 앱 배포를 위한 백엔드 (1/2)-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AWS 인프라 구축과 DevOps 운영 13일차
< 강의 커리큘럼 > 01. DevOps의기본 개념 02. AWS기반 소규모&중규모 아키텍트설계 03. AWS기반 대규모아키텍트 설계 04. 코드를통한 인프라관리(IaC) 05. 도커와 쿠버네티스를 이용한서비스
everycloudhasasilverlining.tistory.com
백엔드 개발 강의 내용들을 쭉 정리해보자면
1. Djago를 할 줄 모른다는 가정하에 Django의 공식문서를 통해 튜토리얼을 진행
첫 번째 장고 앱 작성하기, part 1 | Django 문서 | Django
Django The web framework for perfectionists with deadlines. Overview Download Documentation News Community Code Issues About ♥ Donate
docs.djangoproject.com
2. 온라인주문어플리케이션 만들기로 계획함
> 앞선 DDD를 설명할 때 부터 이야기를 계속 해왔습니다 .
> 모놀로식과 마이크로 형식으로 다 해보려고 하지만 , 지금은 모놀로식 형태로 해보기로 함
> 최소한의 구분으로 Order(고객 주문페이지) , Boss(사장님이 보는것), Delivery(배달기사)로 3개는 구분함
3. Order
> 초기 튜토리얼에서 했던 내용을 이해했다면 크게 어렵지 않음
> 튜토리얼에서 했던 내용이 실전 ver 어떻게 사용되는가를 알 수 있으면서 이해가 됩니다.
> 3개의 상점이 있고, 상점별 메뉴들이 각각 다르고, 배송까지 걸리는 시간과 배달완료를 확인할 수 있는 칸 까지 만듬
> view.py와 .html 파일을 잘 연결해서 사용하여, 우리가 보는 페이지에서 잘 보일 수 있도록 합니다.
> models.py는 데이터베이스를 만든다고 생각합니다.
> urls.py 는 가장 상위에있는 urls.py에 각각의 앱(order, boss, delivery)를 등록해줘야 정상동작 가능하며,
각각의 앱에서는 환경에 맞춰 urls.py를 설정해줘야합니다.
> admin은 따로 만지지는 않았네요.
4. Boss
> 사장님은 들어온 주문을 받고 얼마나 시간이 걸리는지 입력합니다.
> 3개의 상점별로 사장님은 1명씩 있을 것이니. 사장님별로 타 상점에서 어떤 주문이 들어오면 보이면 안됩니다.
> 걸리는 시간을 입력하고.. 그런 페이지가 만들어졌고, Order 강의에서 이미 대부분 설명이 되었습니다.
5. Delivery
> 배송이 완료되었는지 체크합니다.
> 이부분 또한 앞서 내용들이 모두 정리가 되었습니다.
그리고. 이정도는 조금 더 알고 보면 도움이 될 것 같네요.
https://noahlogs.tistory.com/35
[네트워크] get 과 post 의 차이
GET 과 POST 는 HTTP 메서드로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무언가를 요청할 때 사용한다. 2019/06/01 - [IT 정보 로그캣/CS] - [네트워크] http 란 [네트워크] http 란 기본적으로 네트워크 통신을 할 때 처음 접하
noahlogs.tistory.com
https://velog.io/@inyong_pang/HTMLCSS-HTML-%EA%B8%B0%EB%B3%B8-%EB%AC%B8%EB%B2%95
[HTML/CSS] HTML 기본 문법
HTML 기본 형태 태그는 각자의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다음과 같은 형태를 가진다 ` 태그는 열리고(open) 닫히는(close) 태그 구조를 가지고 있는 한 쌍 (시작(start)와 종료(end)구조라고도 함) 태그의 범
velog.io
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참여를 위해 작성되었습니다.
수강료 100% 환급 챌린지 | 패스트캠퍼스
딱 5일간 진행되는 환급챌린지로 수강료 100% 환급받으세요! 더 늦기전에 자기계발 막차 탑승!
fastcampus.co.kr
'IT이야기 > AWS인프라 구축과 DevOps 운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인프라 구성하기 (로드밸런서의 동작원리와 ELB)-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AWS 인프라 구축과 DevOps 운영 16일차 (0) | 2021.11.16 |
---|---|
인프라 구성하기 (RDS 구축과 EC2 코드배포)-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AWS 인프라 구축과 DevOps 운영 15일차 (0) | 2021.11.15 |
모놀리식 앱 배포를 위한 백엔드 (1/2)-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AWS 인프라 구축과 DevOps 운영 13일차 (0) | 2021.11.13 |
Django 기초 (2/2) -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AWS 인프라 구축과 DevOps 운영 12일차 (0) | 2021.11.12 |
Django 기초 (1/2) -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AWS 인프라 구축과 DevOps 운영 11일차 (0) | 2021.11.11 |